
Seol Hui Sook_Solo Exhibition_Dongnam Arts Center
Artist:
Soel Hui Sook 설희숙
Period:
Period:
2024. 09. 23 - 2024. 09. 28
Location:
Dongnam Arts Center 동남아트센터, Changwon, Korea
About The Artist
캔버스 안 동백의 표정
향이 아닌 색과 형상으로 매개체를 유인하는 조매화鳥媒花 동백은 모든 생명이 움츠러드는 혹한기에 깊은 곳 꿀샘에 꿀을 그득히 품어 동박새에게 시기적절한 귀한 양식을 제공하는 대신 머리와 등에 노란 꽃가루를 슬쩍 묻힌다. 생존을 위한 공진화共進化는 허튼 것 없이 억지스럽지 않고 인위적이지도 않으며 가장 평온한 상태로 진행된다. 강렬한 붉은색의 꽃잎은 짙은 녹색의 잎사귀 사이에서 더욱 도드라져 보이고 설경雪景 속에서도 보란 듯 꿋꿋하고 생생하게 빛을 발하는 경상남도 통영을 대표하기도 하는 동백은 지역인들의 강한 기상과 저력 그리고 역사적으로는 1952년 임진왜란의 3대 대첩 중 하나가 이루어진 이충무공의 호국정신을 상징하는 결연한 이미지의 꽃이다. 캔버스에 강렬한 색으로 만발한 꽃을 피우고 있는 설희숙 작가의 작업은 동백꽃이 모티브이며 주제로 구성하고 있다. 통영에서 오랜 시간 뿌리를 내리고 작업을 이어 온 설희숙 작가 작품의 중심은 처음부터 동백꽃이었다.
“글쎄요, 다른 꽃을 안 그려본 건 아닌데 동백을 작업으로 한 이후로는 저는... 동백이에요.
가장 아름답고 좋고 멋있어서 다른 꽃은 눈에 들어오질 않아요. 동백이 통영이고, 그냥 저 같아요.”
-작가와의 인터뷰 내용 중-
작품마다 다른 표정으로 피어있는 그의 작품들을 보며 혹시 다른 꽃도 작업하냐는 질문에 작가는 그의 작품의 분위기처럼 단순하고 간결하고 명확하게 답했다.
주제도 작품명도 모두 동일하게 설정한 그의 작품들은 그래서 단지 캔버스의 크기로 작품들을 구분할 수 있다. <이미지 동백> 시리즈 안에 피어난 동백은 중앙에 비대하게 부풀려져 화폭을 꽉 채워 한눈에 잡히지 않을 정도로 압도적인 비율로 거대하게 피어있기도 하고, 간결하고 단순하게 작은 무늬로 패턴화해 반복적이고 규칙적으로 규격화하여 구성하기도 하며, 동백 중앙의 노란 수술을 중심으로 클로즈업된 형상은 하늘거리는 가루가 아닌 타오르는 불의 형상으로 뜨겁게 보이기도 하고, 견고하게 구축된 빨간 꽃과 받치고 있는 잎사귀의 배합은 적절한 색 분할과 보색 대비 효과를 주어 화폭 안 분위기를 더욱 두텁고 굳건하고 묵직하게 구축하기도 하며, 금빛 얇은 엉켜진 선들 속에서 분명하게 피어있는 빨간 동백의 자태는 아기자기하거나 여리여리함 대신 기품 있고 우아하고 장엄하게 피어 있기도 하다. 동백의 기질대로 작가는 본인의 감각을 덧입혀 그만의 꽃을 구성하는데 작가가 부여한 아름다움은 비교적 명확한 그의 조형언어로 구상되고 있다. 단순화된 다발의 꽃들은 가장 간결한 기하학적 무늬로 반짝이며 차분하게 안착해 있지만 주로 덩그러니 놓인 한 송이의 꽃의 표정은 고고하고 장엄하고 기품이 있다. 꽃을 위시한 주변에 반짝이거나 패턴화된 문양으로 인해 작가가 의도한 분위기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하얀 눈 속에서도 더욱 선명히 그 존재를 알리며 생을 구걸하거나 부지하려는 미련 따위 없이 기능을 다 한 뒤 생생한 목을 떼어내 버리는 단호한 동백꽃의 품위가 설희숙 작가의 작품 속에 고스란히 서려 있다.
고연수 평론가 글 중에서.
Certainly! Here is an English summary and adaptation of the provided text, suitable for use in an exhibition catalogue, artist profile, or critical essay:
The Expressions of Camellia on Canvas
Unlike flowers that attract pollinators with scent, the camellia (a bird-pollinated flower) uses its vivid color and form to draw in visitors. During the harshest winter, when most life retreats, the camellia fills its deep nectar wells, offering precious sustenance to the Japanese white-eye bird. In exchange, the bird unwittingly carries yellow pollen on its head and back. This co-evolution for survival unfolds naturally—without excess, artifice, or force—maintaining a state of serene harmony.
The camellia’s intense red petals stand out vividly against deep green leaves, and even in snowy landscapes, the flower shines with resilience and vitality. In Tongyeong, Gyeongsangnam-do, the camellia is a symbol of the region’s enduring spirit and strength. Historically, it also evokes the patriotic legacy of Admiral Yi Sun-sin, whose victory in one of the three great battles of the Imjin War took place here, further cementing the camellia as a flower of resolute determination.
Artist Seol Hee-sook’s work is centered on the camellia, both as motif and theme. Having lived and worked in Tongyeong for many years, Seol has always made the camellia the heart of her artistic journey.
“Well, it’s not that I haven’t painted other flowers, but ever since I started working with camellias, I am… camellia. No other flower appeals to me. Camellia is Tongyeong, and it’s simply who I am.”
— From an interview with the artist
When asked if she ever paints other flowers, Seol responds with the same simplicity, clarity, and directness that characterize her works. Both the subject and titles of her pieces are always the same—camellia—so her works are distinguished only by the size of the canvas.
In her <Image Camellia> series, the camellia appears in a variety of expressions: sometimes magnified and dominating the canvas with overwhelming presence, sometimes rendered as simple, repetitive patterns, and sometimes shown in close-up, with the yellow stamens blazing like fire rather than floating pollen. The robust red petals and supporting green leaves are constructed with precise color division and complementary contrasts, lending the compositions a sense of weight and solidity. In some works, the camellia’s form emerges elegantly and majestically from a tangle of golden lines, eschewing daintiness for dignity.
True to the camellia’s nature, Seol infuses her own sensibility, creating flowers that are unmistakably her own, articulated through a clear and distinctive visual language. Simplified clusters of flowers shine with geometric clarity, while solitary blooms radiate nobility and grandeur. The surrounding sparkling or patterned motifs further enhance the intended atmosphere. Even in the snow, the camellia asserts its presence, discarding its blossom with dignity once its purpose is fulfilled—never clinging to life out of desperation.
The proud spirit of the camellia, so deeply woven into the culture and history of Tongyeong, is powerfully embodied in Seol Hee-sook’s work.
— From an essay by art critic Koh Yeon Soo